본문 바로가기

Git

(4)
Git 의 Pull Request fork 하기github가서 web UI에서 fork 누르기Clone, remote 저장소 추가Fork로 생성한 저장소가서 url 복사하기Git clone 복사한url(fork한 저장소)(pull request 할) github 가서 url 복사하기Git remote add (원격저장소별명) (pull request 할) github_urlGit remote -v 명령어로 제대로 원격저장소가 추가되었는지 확인Branch 생성Git checkout -b fix-noderulesGit branch 명령어로 branch 생성된 것 확인수정 작업 후 add, commit, pushCode에서 수정 후Add > commitGit push origin(fork한 저장소) fix-noderules(브랜치명)Pull ..
Git 명령어 정리 - Git init . : 저장소를 초기화 - Git status : git 저장소의 상태 파악 - Git add 파일명.파일형식 : staging area에 올림 - Git add . : 현재 디렉토리 내 모든 파일을 add - Git add 폴더이름 : 그 폴더 내 모든 파일 add - Git commit : 여러줄의 commit message 작성 가능 - Git commit -m "Message 1" : version 생성Git commit -am "Message" : add 와 commit까지 한번에 진행새로 생긴 파일은 이거 안된다.이때 add를 해주지만 최초 한 번은 add를 한 상태의 파일이어야 함- Git log : 역사를 보고 싶을 때 - Git log --stat : 로그봤을 때 파일..
Git 용어 - 원격저장소(remote repository) : 멀리있는 서버에 저장 - 지역저장소(local repository) : 내 컴퓨터에 저장 - Push : 저장소에 저장 (저장소에 data를 밀어넣음) - Pull : 저장소에 있는 data를 로컬로 가져옴 (저장소에 있는 data를 당겨옴) - .git : git repository(버전이 저장되어있는 저장소) - Working tree : 수정한 파일들, 파일을 수정하는 곳, 버전으로 만들어지기 전 단계 - Staging area : 버전을 만들려고 하는 파일들. 버전으로 만들 파일들을 추려서 버전으로 만들게 되면 repository에 올라감 - Repository : 만들어진 버전 - Master : 최신버전 - Base : 합치려는 것의 공통 조..
Git 기본 개념 Git의 3대 목적버전 관리백업협업 Git을 지원하는 다양한 프로그램Github (기능이 상대적으로 적음)TotoiseGitSourcetree (기능이 많은 대신 복잡함).git 파일을 지우면 안된다. .git 파일에 버전 정보들이 저장된다. Commit 은 version과 같은 말이다. Reset은 특정버전으로 가기 위해 다른 수정된 것들을 지워버리는 것이다. ex) version1~4가 있데 version1이 되고 싶으면 그냥 reset version1 하면 됨 Revert는 이전버전으로 가기 위해 현재 버전을 지우는 것 ex) version1~4까지 있는데 version1이 되고 싶으면 revert4 > revert3 > revert2 하기Version1~4가 있는데 version 3가 되고싶다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