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time : 서버가 재부팅없이 연속적으로 다운없이 지속된 시간
Heartbeat 설치
Monitor 하기위한 프로토콜 구체화
elasticsearch로 uptime data 보냄
Kibana에서 uptime data 시각화
Heartbeat.yaml
- Type: http
- Http를 통해 연결하고, 선택적으로 hosts가 예상 응답을 반환하는지 확인
- Http 옵션
- Check
- Check.request : request를 하고, response를 기다림
- Check.request.method : 사용할 http 메소드(함수)
- HEAD : 웹서버에서 헤더 정보만 보냄, 서버 다운 여부 또는 버전 정보를 얻기 위해 사용
- GET : 서버 정보(url이 의미하는 곳) 조회, 데이터를 읽거나 검색
- POST : 헤더정보에 포함되지 않고 데이터 부부분에 요청 정보가 들어감, 새로 운 리소스 생성 및 변경하기 위해 설계 (get과 달리 전달해야할 데이터를 body 에 담아서 전송하기때문에 대용량 데이터 전송 가능), 요청할 때마다 응답이 달 라질 수 있음
- POST로 요청을 보낼 때는 content-type 에 요청하는 데이터 타입 표시 필요
- Application/json : RestAPI의 경우 보통 JSON 타입으로 요청하고, 요청 받음
- POST로 요청을 보낼 때는 content-type 에 요청하는 데이터 타입 표시 필요
- Check.request.headers : 전송할 추가 http 헤더로서, heartbeat은 자신을 식별하도록 헤더를 설정함
- Check.request.body : 요청 내용
- Check.request.method : 사용할 http 메소드(함수)
- Check.request : request를 하고, response를 기다림
- Check
- Heartbeat.monitors : 로그인 인증 방법
- Basic authentication 사용 : Username, Password
- Output.elasticsearch : elasticsearch http api를 활용하여 바로 elasticsearch로 쏴줌
- 이 과정에서 사용하는 인증방법들 Verification_mode : none >> 서버의 인증서 유효성을 제어
- 서버의 인증서를 확인하지 않음
- Production 환경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음
- 이 과정에서 사용하는 인증방법들 Verification_mode : none >> 서버의 인증서 유효성을 제어
- Setup.kibana : kibana dashboard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kibana API를 사용해야하는데, 이 때 kibana endpoint configuration이 필요 >> kibana endpoint 구성
'EFK&ELK Stack' 카테고리의 다른 글
Kibana (0) | 2024.05.24 |
---|---|
Elasticsearch (0) | 2024.05.24 |
Fluentd (0) | 2024.05.23 |